청년 농업인 지원정책 2가지 정리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은 예술 뿐만 아니라 생각합니다. 바로 농업 자체도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1차 산업이지만 지구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산업인 농업은 시간이 갈수록 발전하고 똑똑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바로 청년 농업인의 진출과 노력 그리고 지원이 있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유용한 정부 정책내용이 2가지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청년 농업인 창업기술지원  내용

 

설립 7년 이내의 청년 농업인 창업기업 또는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농업기술 창업 활성화를 위해 과제 수행 관련 검인증, 심사⋅분석, 지재권 출원 비용, 교육 훈련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목적

청년농업인 창업기업의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살펴보고 농진청 연구실의 역량과 결합하여 창업 활성화를 꾀하는데 목적을 둡니다.

 

지원내용

 

  • 창업 아이디어에 대한 농진청 전문 연구실의 기술 로드맵 지원
  • 창업사업화 과정에 소요되는 연구활동비 지원
  • 사업의 타당성 분석 등 비지니스 모델 전략보고서 지원
  • 청년 농업인 창업기업-농진천 전문 연구실- 실용화재단 3자 협약

 

지원금액

 

총 오천만원, 5과제 내외

과제 수행과 관련된 연구활동비 및 비즈니스 모델 수립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신청자격

 

  • 청년 농업인 창업기업(설립 7년 이내 창업 기업 또는 예비창업자) – 경력이 없어도 예비 창업자도 가능한 것 같습니다.
  • 만 18세 이상 ~ 만 40세 미만
  •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 2조에 따른 농업인 또는 농업법인
  • 기존에 정부지원 기술 개발성ㅂ에 지원을 받았던 내역이 있다면 중복지원 불가

 

신청기간

 

공고일 ~ 21년 9월 10일(금) 18시 까지

 

사업수행기간

 

협약체결일 ~ 21년 12월 17일(금)

 

지원분야

 

  • 농산 : 식량⋅원예⋅특용작물, 농화학 등 농산분야
  • 축산 : 동물사료⋅사육⋅육종, 수의 등 축산분야
  • 식품 : 식품공학, 식품영양
  • 시스템 : 농업⋅축산⋅식품 기계 및 시스템 등 농림식품 기게, 시스템 분야
  • 융복합 : 디지털, 농생명 신소재, ICT 융복합 등 융복합분야

 

신청방법

 

이메일 접수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itsnil@efact.or.kr) 접수

 

준비서류

 

  • 청년 농업인 창업기술 지원사업 신청서 1부
  • 과제수행계획서
  • 사업자등록증 또는 법인등기부 등본(해당시)
  • 신분증 사본
  • 농업경영체 등록증
  • 보유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 증빙 (해당시)
  •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서류

 

 

청년농업인 육성정책

 

청년 농업인에 대한 또다른 지원 정책입니다. 이는 지원 기간이 지났지만 수시로 지원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관련내용을 알아두고 있다가 신청기간에 신청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영농 창업자금, 기술⋅경영교육과 컨설팅, 농지은행 매입비축 농지 임대 및 농지 매매를 연계 지원하여 건실한 농업 경영체로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지원을 합니다.

 

영농정착지원금 지급금액

 

영농경력에 따라 차등지급

  • 1년차 : 월 100만원
  • 2년차 : 월 90만원
  • 3년차 : 월 80만원

 

지원자격

 

  • 사업시행연도 기준 만 18세 이상 ~ 만 40세 미만
  • 영농경력 독립경영 3년 이하(독립경영 예정자 포함)
  • 건강보험료 등 일정소득 이상인 자는 제외

 

보통은 사업신청서 접수를 한달의 기간으로 잡습니다.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  농립사업정보시스템

 

문의처

사업안내 콜센터 : 1670-0255

 

참고하면 좋은 홈페이지

 

청년창업농 선발 및 지원사업에 관한 내용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 신청 페이지

청년농업인 바로가기 

 

이렇게 간단히 청년 농업인 지원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MZ 세대들의 독특한 창업관과 아이디어를 현실화하고 증폭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